1월 중반부터 2월까지

1월 중반, 처음 겪는 징후로 컨디션이 저조한 가운데 18일부터 29일까지 출혈이 10일 남짓 지속됐고 기간 역시 전에 없이 길었던 탓인지 후유증도 심했다. 두통과 메스꺼움으로 음식을 제대로 먹을 수 없었으며 한 달 동안 집 밖에 나가지 못했다. 심장이 빠르게 뛰면서 통증이 간헐적으로 느껴졌고, 어느 밤엔 자다가 놀라서 깼다.

공백기가 길어지자 마음이 쫓겼다. 31일부터 2월 2일까지 짧게라도 누워서 책을 읽거나 엎드려서 시놉시스를 썼다. 3일, 2주 넘게 중단했던 원고를 잡았다가 3시간 만에 포기하고 이후 8일까지 얌전히 지냈다. 13일에 다시 선작업을 했다가 14일을 무력하게 보냈고, 15일에 밑색을 발랐다가 16일에 겨우 책만 두 시간 읽었다. 17일부터 19일까지 두세 시간씩 작업했다. 20일부터 23일까지 손을 놓았다. 24, 25 양일간은 다시 독서와 시놉시스, 26일부터 바로 어제인 29일까지 평균 다섯시간씩 채색을 했다.

이 모든 말들이 참 지겹고도 구태의연하다.

그럼에도 이번 고비는 확실한 인식을 남겼다. 저쪽 집에서 나가기로 한 시점부터 작은 작업방이 주어진 지금까지 최소 세 번, 문자 그대로 솜이 나를 건졌다. 내 몸이 과연 버텨낼지에 대한 확신이 없어 두려웠던 날들조차 적어도 생활이 비참하지 않았던 건 모두 솜 덕분이었다.
앞으로는 솜을 위해 그리고 싶다. 할 수만 있다면 나와 나의 바람보다 솜을 우선하면서.

슈테판 츠바이크의 <초조한 마음>을 읽었다. 시놉시스는 동고림 확장편인 진홍과 주명을 썼다.